본문 바로가기

보석

11화 . 황금의 나라, 통일신라의 귀족 여성과 장신구 이야기

반응형

화려함 속에 깃든 신분과 정신의 미학 

고대궁중여성 헤어스타일

👑 신분을 말해주는 '황금의 언어'

통일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신라 귀족 사회가 더욱 고도화된 시기입니다. 계급이 철저히 구분된 만큼, 장신구는 신분을 보여주는 상징이었습니다. 황금으로 된 꽃 모양의 귀걸이, 옥과 진주가 박힌 머리장식, 정교한 은세공의 허리띠는 누가 귀족이고, 누가 왕족인지 말없이 드러냈습니다.

금 귀걸이
통일신라 시대의 금 허리띠

🌸 귀족 여성의 화장대, 예술이 되다

칠보(七寶)로 장식된 목제 화장대 위에는 청동 거울, 옥 조각이 달린 붓, 백분을 담은 작은 용기, 향료를 담은 상자 등이 놓였습니다. 이들은 아침마다 머리를 빗고, 향을 피우며, 옥비녀를 꽂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했습니다. 거울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마음을 비추는 영적인 매개체로 여겨졌습니다.

귀족 여성의 화장대

🧘‍♀️ 불교와 함께한 여성의 미학

통일신라 시대는 불교가 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은 시기였습니다. 귀족 여성들은 불교적 신앙심을 장신구로 표현했습니다. 연꽃 문양의 귀걸이, 관음보살을 형상화한 목걸이 펜던트, 불경의 구절이 새겨진 반지는 내면 수양과 미의식이 조화를 이루는 상징이었습니다.

신라 왕족 목걸이

💍 통일신라의 장신구는 왜 특별한가?

실크로드를 통한 무역으로 라피스라줄리, 유리구슬, 호박 등이 사용되었고, 세공 기술은 당시 동아시아 최고 수준이었습니다. 이러한 장신구는 단순한 꾸밈이 아니라, 귀족 여성의 신분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문화적 자부심이었습니다.

옥으로 장식된 금비녀

✨ 오늘날의 의미

박물관 유리장 너머에서 보이는 장신구는 이름 없는 여성들의 삶과 미의식을 전합니다. 그들의 화장대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자기표현과 정신성의 상징이었고, 우리는 그 속에서 한 시대를 살아간 여성의 삶을 읽을 수 있습니다.

화장을 하는 귀족 여성의 옆모습

 

아침 햇살이 드는 고대 신라 궁

반응형